과거 OTT 기업들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고 수준의 콘텐츠를 만들어 큰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희망을 갖고 한국 드라마에 투자했다. 하지만 국내 출연료와 제작비 상승으로 인해 이제는 일본으로 시선을 옮겼다.
구체적으로, 일본에서 드라마를 만드는 것은 한국 프로젝트를 제작하는 것과 비교해 절반의 예산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유리합니다.
최근 종영한 tvN 드라마 ‘눈물의 여왕’은 총 16부작으로 제작비는 560억 원, 회당 제작비는 평균 35억 원이었다. 규모가 작은 드라마라도 A급 배우가 출연하지 않더라도 회당 제작비가 평균 10억 원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OTT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드라마의 평균 제작비는 회당 3~4억 원대였지만, 지금은 회당 20억 원에 달하는 게 흔해졌다.
관계자에 따르면 배우들의 출연료가 제작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톱배우들이 회당 10억 원씩 받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디즈니+ 드라마 ‘삼식아저씨’의 남자주인공 송강호는 회당 7억 원, 전체 시리즈를 통틀어 총액 100억 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징어게임2’에 출연한 이정재는 회당 10억원을 받았다고 한다. 드라마 업계에서도 현재 배우들의 표준 출연료는 회당 3억~4억 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넷플릭스는 일본으로 초점을 옮기고 있으며, 최근 한국 여배우 한효주가 여주인공으로 출연한 일본 드라마 ‘로맨틱 어나니머스’를 제작한 것이 그 증거입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에 한국 콘텐츠는 비영어 콘텐츠의 9%를 차지했고, 일본 콘텐츠는 5%를 차지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한국의 제작비가 상승함에 따라 일본 콘텐츠의 제작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한 관계자에 따르면, 비용 효율적인 제작과 일본과 한국 문화 간의 공감대 덕분에 일본의 OTT 서비스에 대한 매력이 높아졌습니다.
게다가 한국 드라마의 장기적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제작비가 오르면서 많은 방송사들이 드라마 제작을 줄였다. 몇몇 주요 방송사들은 수목 드라마 제작을 중단하고 월화드라마와 미니시리즈 편성을 조정했다. 2022년 한국 채널의 드라마 편수는 총 141개였으나, 지난해 이 숫자는 123개로 줄었고, 30~40% 더 감소해 올해는 100개 드라마만 남게 됐다.
마찬가지로 티빙, 웨이브 등 국내 OTT도 드라마 투자를 줄였다. 실제로 웨이브는 올해 새로운 드라마를 내놓은 적이 없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