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K팝의 현실: 아이돌은 환상뿐만 아니라 진짜 감정과 자아도 판매합니다.

‘판매’라는 단어가 거칠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는 현재 K팝의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공개된 LE SSERAFIM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본 후, 아이돌도 감정을 판매하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7월 29일, HYBE는 LE SSERAFIM이 2022년 연말 공연을 위한 리허설부터 2024년 세 번째 미니 앨범 “EASY”를 준비하는 과정을 따라가는 “Make It Look Easy”라는 제목의 5부작 ​​다큐멘터리를 초연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멤버들이 세련된 이미지 뒤에 직면한 힘든 노력과 투쟁을 조명합니다.

그리고 세라핌 사쿠라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는 아이돌의 어두운 면을 밝힌 유일한 그룹은 아니다. LE SSERAFIM의 다큐멘터리 이전에도 다른 그룹들도 그들의 투쟁을 폭로한 다큐멘터리를 내놓았다. 이런 유형의 콘텐츠는 아이돌들에게 흔한 특징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E SSERAFIM의 다큐멘터리를 차별화하는 것은 멤버들의 고난을 여과 없이 포괄적으로 묘사한다는 것이다.

컴백 쇼케이스에서 과호흡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멤버 은채는 끈기 있게 공연을 펼친다. 데뷔를 앞두고 다른 멤버인 사쿠라는 산소 마스크를 쓰고 불안하게 연습하는 모습이 묘사된다. 다큐멘터리 전반에 걸쳐 멤버들은 “노력”이라는 레이블이 붙은 만큼 과도해 보일 수 있는 도전에 직면하는 모습이 나온다.

2화에서는 그룹 멤버인 윤진이 연습 중 감정이 격해지면서 대중과 업계 종사자들의 압박감을 느꼈다고 표현했고, 3화에서는 사쿠라가 컴백 퍼포먼스 시사회 도중 갑자기 눈물을 흘리며 무대를 내려갔다. 상황이 너무 심각해져서 촬영진도 잠시 멈춰야 했다. 사쿠라는 그 순간을 회상하며 “연습한 게 현실적으로 계획대로 되지 않아서 팬들에게 죄책감을 느꼈고, 힘들어도 꿋꿋이 버텨야 했다”고 말했다.

세라핌

다른 에피소드에서 멤버들은 아이돌이 되기로 한 결정에 대해 고민하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계속할 가치가 있는지 의문을 품습니다. 대부분의 에피소드에서 시청자는 멤버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지쳐 있는 모습을 봅니다. 일부는 LE SSERAFIM의 개념이 “두려움 없이 전진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그들의 투쟁이 드라마틱한 효과를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이 패턴은 깨지고 멤버들의 진정한 행복이 빛납니다.

일부 시청자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LE SSERAFIM은 멤버들의 정신 건강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감정 조작”과 장면을 연출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멤버들의 투쟁을 담은 편집된 클립이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유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멤버들을 향한 악의적인 댓글이 늘어났습니다.

다큐멘터리의 진짜 목적은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특정한 “판매 포인트”가 관여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경쟁적인 K팝 시장에서는 “판매”와 “판매 포인트”와 같은 개념이 일반적으로 활용됩니다. 세일즈맨과 마찬가지로 아이돌은 업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독특한 판매 포인트를 발견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투쟁조차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한 도구가 됩니다.

K팝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 성장하고 새로운 아이돌 그룹이 끊임없이 데뷔함에 따라 이러한 추세는 아이돌이 쉽게 교체 가능한 환경을 촉진합니다. 아이돌은 종종 완벽한 “스타”로 여겨지지만, 이 산업에서는 교체 가능한 “제품”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화려한 외모의 비하인드 스토리도 상품화되었습니다.

아이돌의 상업화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유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도입에서 볼 수 있다. 팬들은 3,500원에서 4,500원 사이의 월 구독료를 지불함으로써 좋아하는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개인 채팅을 모방하여 팬들이 아이돌과 문자를 주고받는 듯한 환상을 만들어내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여러 멤버십 구독에 대한 할인 혜택과 구독 기간에 따라 팬들이 보낼 수 있는 문자 수에 제한이 있는 매우 자본주의적인 모델로 운영된다.

과거에는 아이돌과의 소통이 금전적 거래보다는 진정한 감정에 집중되었습니다. 팬들은 팬 카페를 통해 아이돌에게 다가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메시지와 댓글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추세는 팬들이 아이돌과 소통하기 위해 금전적 지불을 요구합니다. 이로 인해 아이돌과 팬 사이의 역학 관계가 미묘하게 변화하여 이제 아이돌은 “대화”의 제공자로, 팬은 소비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로 인해 진정한 애정보다 “돈의 가치”를 중시하는 팬덤 문화가 생겨났습니다.

세라핌

팬들은 아이돌이 커뮤니케이션 앱에 자주 로그인하지 않거나 간단한 메시지를 보내지 않을 때 불만을 표출할 수 있으며, 돈만큼의 가치를 받지 못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사실, 한 아이돌의 팬들이 해시태그 캠페인을 시작하여 앱에서 아이돌의 활동이 제한되어 환불을 요구했습니다.

유명인이 앱에서 자신의 도전이나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면, 어떤 팬들은 지지를 표하고, 어떤 팬들은 “이 정보에 대한 수수료가 있나요?”라고 묻습니다. 어떤 팬들은 유명인이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으면 화를 낼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팬들이 앱의 제한된 어휘를 우회하여 성희롱에 가까운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이러한 앱 사용과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하면, 어떤 팬들은 유명인을 옹호하며, “궁극적으로 로그인 빈도는 그들이 결정해야 합니다”와 “의사소통은 강요될 수 없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유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등장한 이래로 아이돌이 메시지와 사진을 보내는 빈도와 친절함은 새로운 판매 포인트가 되었습니다. 팬들은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핫스팟”에 가입하기 위해 서두르며, 아이돌을 익명의 청중에게 재미를 판매하는 감정 노동자로 만듭니다. LE SSERAFIM 멤버들의 눈물 어린 고백이 떠오르며, 우리가 존경하는 아이돌이 진정으로 개인으로 살고 있는지, 아니면 확장되는 K-pop 세계에서 단순한 인형으로 전락했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